안녕하세요 오늘은 TV 수신료에 대한 처리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
자취를 시작할 때 TV를 보지 않는다면 미리 신청하는 것이 매달 지출되는 돈을 줄일 수 있습니다.
저 같은 경우 자취를 시작한 이후 TV 수신료가 전기 사용료에 포함된 것을 보며 납부를 해왔습니다.
예전부터 강제로 징수된 것임을 알기 때문에 당연하게 낼 수밖에 없었는데요.
어느 순간부터 TV 수신료를 해지하거나 분리납부할 수 있다는 소식을 알고 신청하게 되었습니다.
주의할 점은 TV수신료 분리납부가 아닌 꼭 해지를 신청해야 하는 것입니다.
분리납부한 후 독촉하지 않아 해지인 줄 알았다가 몇 년 치를 한 번에 내야 할 수 있습니다.
보통은 분리납부를 굳이 할 필요가 없으니 해지를 신청 못하는 경우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.
본론으로 들어가 KBS에 문의하여 해지하는 방법을 보겠습니다.
(기본 전제로 TV시청을 하지 않아야합니다.)
1. KBS에 1:1 메일 문의하기 https://iaudience.kbs.co.kr/
KBS 시청자상담실
소중한 시청자 소리와 함께하는 KBS 시청자상담실입니다.
iaudience.kbs.co.kr
제가 해지를 한 방법입니다.
자유게시판을 보면 전화연결이 잘 안 되어 불만이 여럿 보이는데요.
생각보다 빠르게 일처리가 되진 않나 봅니다.
하지만 별다른 방법이 없습니다.
해당지역 한국전력 상담전화도 안 받고 있었거든요...

위 사진의 시청자의견 답변 카테고리에서 1:1 문의를 들어갑니다.
수신료 민원 항목에 '수신료면제/면제해제신청'을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.
내용은 집주소, 연락처 및 전기 고객번호 또는 수신료 관리번호가 있습니다.
고객번호란 고지서에 기재된 10자리 번호를 의미합니다.
(전기세 고지서 또는 모바일 납부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.)
2. 환불방법
뒤늦게 TV수신료 해지를 하게 될 때 피 같은 내 돈을 돌려받는 방법입니다.
사실 현재 없음을 증명하는 방법보다 매우 어렵습니다.
하지만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니 크게 두 가지 사항을 체크해 봅시다.
1. 이삿짐센터와 소통했던 내역
이사오기 전 이삿짐센터를 이용했다면 매우 객관적인 증거자료로 쓰일 수 있습니다.
거래를 하며 관련된 짐 체크리스트를 공유했을 수도 있고, 대략적인 짐들의 사진을 공유한 내력이 있을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. 관련 대화내역이 스마트폰에 있다면 캡처하여 증거자료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.
2. 이사 후 짐정리 완료됐을 때 찍은 사진
이삿짐센터를 이용하지 않았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
이사 후 부분적인 하자상태나 집구조를 찍으셨을 텐데요.
결국 사람이 하는 일이기 때문에 말하기 나름이겠지만 전체적인 구조가 보이면 매우 좋은 자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.
저의 신청 후기
신청 후 약 일주일도 더 됐을 때 모르는 서울 번호(02)로 연락이 왔습니다.
취소를 위한 기본정보들을 확인 후(TV설치여부, 일자 등)
TV가 없음을 증명하기 위해 현재 살고 있는 방 사진을 찍어 안내해 준 번호로 전송하는 것입니다.
전송 후에도 당일 바로 처리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차분히 기다리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습니다.
이상으로 KBS를 통한 TV수신료 해지 및 환불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아무리 적은 돈이지만 불필요한 지출을 아끼실 수 있길 바랍니다.